*
내게 '김애란' 작가님의 이름은 시작과 같은 의미다.
매년 다독을 목표하지만 대체로 3~4개월 지나면 독서는 다른 일에 밀리고 만다.
퍼뜩 정신 차려보면 그 상태로 1, 2개월은 우습게 지나가 있다.
독서를 숙제처럼 생각진 않다. 다만 독서의 흐름을 탔을 때 차오르는 감정과 생각의 흐름들을 좋아한다.
그 흐름이 끊기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 때문에 다독을 목표로 삼는다.
올 해는 운이 좋다. 한 해의 중반기에 김애란 작가의 신작이 나왔기 때문이다.
망설일 필요도 없이 다시 독서의 시작이다.
*
얼마 전부터 필사를 시작했다.
책 한권을 필사한다기보단 독서하면서 문장을 수집하는 의미로 필사를 시작해보았다.
그 중 몇가지를 여기에도 적어두려 한다.
만일 어느 작품 속 인물이 평편하지 않고 울퉁불퉁하게 표현됐다면, 부조리한데 그럴법하고, 전적으로 지지할 순 없으되 한편으론 이해할 수 있게 그려졌다면, 그건 그 작가가 유능하다기보다(혹은 그 능력에 앞서) 겸손하기 때문에 이뤄진 일이라고 믿어서다.
- <잊기 좋은 이름>, 김애란, (말 주변에서, 말주변 찾기) 중
이해란 비슷한 크기의 경험과 감정을 포개는 게 아니라 치수 다른 옷을 입은 뒤 자기 몸의 크기를 다시 확인해보는 과정인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 <잊기 좋은 이름>, 김애란, (점, 선, 면, 겹) 중
얼마 전 '미개'라는 말이 문제가 돼 그 뜻을 찾아봤다. '사회가 발전되지 않고 문화 수준이 낮은'이라는 뜻이 먼저 등장했지만 그 아래 '열리지 않은'이란 일차적인 뜻도 눈에 띄었다. 앞으로 우리는 누군가 타인의 고통을 향해 '귀를 열지 않을' 때, 그리고 '마음을 열지 않을' 때, 그 상황을 '미개'하다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 <잊기 좋은 이름>, 김애란, (기우는 봄, 우리가 본 것) 중
'이해'란 타인 안으로 들어가 그의 내면과 만나고, 영혼을 훤히 들여다보는 일이 아니라, 타인의 몸 바깥에 선 자신의 무지를 겸손하게 인정하고, 그 차이를 통렬하게 실감해나가는 과정일지 몰랐다.
- <잊기 좋은 이름>, 김애란, (기우는 봄, 우리가 본 것) 중
거기 모인 이들의 분노와 원망, 무기력과 절망, 죄책감과 슬픔도 결국 모두 산 자의 것임이 느껴졌다. 하지만 그 순간 무엇보다 가슴이 아팠던 건, 죽은 자들은 그중 어느 것도 가져갈 수 없다는 거였다. 산 자들이 느끼는 그 비루한 것들의 목록 안에서조차 그들이 누릴 몫은 하나도 없다는 단순한 사실이었다.
- <잊기 좋은 이름>, 김애란, (기우는 봄, 우리가 본 것) 중
진짜 공포는 상상할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것 혹은 부족한 것은 공포에 대한 상상력이 아니라 선에 대한 상상력이 아닐까. ...(중략)... 그러니 '희망'이란 순진한 사람들이 아니라 용기 있는 사람들이 발명해내는 것인지도 모른다.
- <잊기 좋은 이름>, 김애란, (잊기 좋은 이름) 중
*
모아둔 문장을 보고 느낀건데 이 책을 읽으면서 '이해'라는 단어에 대해 많이 생각하고 있었다.
2014년 봄, (대한민국의 누구라도 그랬겠지만) 작가님은 마음 깊이 아파한 듯하다.
그 때 대한민국은 집단 우울증을 앓았던 게 생각난다.
이 부분에 대해 나는 왈가왈부 할 수 없고, 할 말도 없고 할 생각도 없다.
그저 그 주변 언저리에서 '이해'라는 단어에 대해 내 나름대로 다시 생각해볼 뿐이다.
어릴적 한참 예민했던 중학생 시절에, 누군가 나에 대해 '안다'라고 말하는 것에 큰 저항감과 분노를 가졌다.
'나에 대해 뭘 아는데 나에 대해 안다고 말하는 걸까'
누군가 나에 대해 아는 체 한다거나 나의 친구를 자처하던 이들에게 하악질을 했던 것 같다.
이유는 있었다. 그 시절의 나는 가족과 종교에 대한 배신감에 치를 떨었고, 그들을 향해 불신으로 벽을 치던 때였다.
다시 생각하면 그 때의 내가 참 불쌍하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것을 알아서 무서운데 표현할 방법을 몰랐다.
그래서 한껏 긴장을 타고 다가오는 이들을 향해 하악질해댔다. 정작 할퀴진 못했겠지만 시늉이라도 죽어라 해댔다.
어쩌면 내 헛발질에 누군가는 상처입었을지도 모른다.
짐작컨대 누군가 나에게 어설픈 위로를 건넬까봐 그게 싫어서 였을거다.
어설픈 위로로 위장한 호기심이 더 겁났을거다.
호기심을 채운 사람의 혀는 순식간에 무기로 변하기 때문이다.
진심으로 다가온 고마운 사람이 있었다 하더라도 아마 나의 상태가 위로를 받을만한 상황이었을거라 생각한다.
그래서 이해와 위로는 꼭 전하지 않을 때가 더 나을 수 있다는 게 내 생각이다.
누군가 위로할 일이 생긴다면 나는 꼭 지키고 싶은 것이 있다.
1. 그 일을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 말하고 싶어한다면 경청하되 절대 발설하지 않는다.
2. '힘 내', '울지 마', '이해해' 같은 가볍고도 위로로 위장한 적당히 빠른 말을 하지 않는다.
차라리 '네가 괜찮았으면 좋겠다'는 나의 소망을 전한다. 나머지 말에 대해선 침묵을 지킨다.
3. 원한다면 그 옆을 지킨다. 그냥 행동을 한다.
나에게 '이해'라는 단어는 '오지랖'이 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예민한 단어이다.
김애란 작가님이 수필에서 쓴 단어의 뜻들이 내게도 와닿는 부분이 많아 더욱 생각이 많아지는 시간이었다.
'바람직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웃풋트레이닝]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실천하는 방법 (0) | 2019.05.04 |
---|---|
[THE ONE PAGE PROPOSAL - 강력하고 간결한 한 장의 기획서] (0) | 2018.10.28 |
[단어의 사생활] 차라리 나와 너로 말할래 (0) | 2018.03.29 |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역사는 나의 적! (0) | 2018.03.29 |
[달콤한 나의 도시] 초콜릿과 함께 씹어먹자. (0) | 2016.11.21 |